Infra/리눅스

Virtual Box에 CentOS7 설치하기

서머스 2022. 4. 3. 12:24

https://www.virtualbox.org/wiki/Downloads

 

Downloads – Oracle VM VirtualBox

Download VirtualBox Here you will find links to VirtualBox binaries and its source code. VirtualBox binaries By downloading, you agree to the terms and conditions of the respective license. If you're looking for the latest VirtualBox 6.0 packages, see Virt

www.virtualbox.org

virtual box를 구글링하면 나오는 오라클 사이트 (버추얼 박스를 오라클에서 인수했다고 한다)

여기서 가운데에 있는 제일 큰 다운로드 버튼을 누르면 된다.

 

본인의 OS에 맞는 패키지를 다운받는다.

다음>다음>.....  후 설치하면 된다.

중간에 빨간 글씨로 warning이 뜨는데, 별건 아니고 그 다운받는 동안 네트워크가 잠시 끊어진다는 의미이다.

 

설치 후 

제어판\네트워크 및 인터넷\네트워크 연결

을 들어가보면

이렇게 이더넷2로 VirtualBox Host-Only Ethernet Adapter가 추가된 것을 볼 수 있다.

가상 네트워크가 구축된 것이다.

 

 

 

 

그다음 iso 파일을 다운받야아 한다.

오래걸리기 때문에 미리 해두는 게 좋다.

 

https://mirror.kakao.com/

 

https://mirror.kakao.com/

CTAN http(s) Comprehensive TEX Archive Network 24 hours

mirror.kakao.com

으로 들어간다

우리는 CentOS를 다운받아야 하기 때문에 CentOS를 클릭한다.

그러면 이렇게 많은 디렉터리가 존재한다.

저 번호들은 버전 번호이다.

앞에 있는 것들은 초기버전이기 때문에 클릭해서 들어가도 아무것도 없다.

 

stream이 최신 버전이긴 한데, 그래도 가장 안정적인 버전인 7을 다운받는다.

7.9.2009 를 클릭한다.

 

isos > x86.64로 들어간다

x86은 n86과 같은데, 386 486할때 그 86이라고 한다.

그 뒤 64는 64bit를 의미함.

 

여기서 DVD를 다운받는다

이름이 DVD인 이유는, 위 iso파일이 4기가정도 되는데 실제로 DVD가 최소 4기가의 데이터를 담을 수 있어서 DVD라고 지었다고 한다..

 

Minimal은 CLI(Command Line Interface)이기 때문에 GUI가 없다. 그렇기에 용량이 훨씬 작다.

현업에서는 비용 절감과 빠른 속도를 위해 주로 Minimal을 사용한다고 한다.

 

나중에 Minimal도 사용할 거기 때문에 둘 다 다운받았지만, 지금 이 글을 보는 분들은 DVD만 다운받아도 된다.

 

CentOS-7-x86_64-DVD-2009.iso

CentOS-7-x86_64-Minimal-2009.iso

 

Vbox를 연 모습.

아까 다운받았던 Virtual Box를 연다.

가장 초기화면은 펭귄이 서있다. 

나는 기존에 여러번 해봐서 리스트에 여러 개 있다.

 

파일 > 환경설정

을 들어가서 자잘한 설정을 해 준다.

가상머신들이 저장될 공간을 지정한다.

가상머신 하나당 꽤 용량이 크기 때문에 여분의 드라이브에 지정해준다.

 

그 다음 호스트 키 조합을 본인이 원하는 걸로 설정한다.

나는 ctrl+alt로 설정했다.

호스트 키 같은 경우에는 마우스를 VB밖으로 내보낼 때 등.. 종종 사용한다. 

잘 사용하지 않는 키의 조합으로 설정한다.

 

 

그다음 '새로만들기'를 클릭한다.

이름을 짓는다. CentOS7라고 작성하면 알아서 버전이 Red Hat으로 바뀐다.

CentOS가 레드햇 제휴로 개발한 컴퓨터 운영 체제이기 때문에 뜨는 듯하다.

 

그 다음 메모리를 설정한다.

나는 4096MB로 설정했다.

그대로 가 준다.

 

 

 

여기서 동적 할당과 고정 크기를 정할 수 있다. 동적 할당을 선택하자.

 

동적 할당과 고정 크기는 꽤 차이점이 있다.

동적할당(Dynamic) 고정크기 (Fix)
- 실습에 사용
- CPU 연산 -> 오래 걸림
- 공간이 한번 fix되면 수정할 수 없음
- 실무에 사용
- 실제 호스트의 용량을 초과할 수 없음
- 실제로 AWS에서는 8G정도 잡음
- 공간이 한번 fix되면 수정할 수 없음

 

 

동적 할당은 필요할 때마다 늘어나는 형식.

그래서 내 디스크 잔여 용량이 128기가가 되더라도, 초기에 1T로 설정해도 문제가 없다.

어차피 처음에는 필요한 만큼만 할당되기 때문이다.

근데 매번 얼마나 필요한지를 할당하다 보니 매번 CPU연산 작업이 필요하다. 그래서 느린 것이다.

그리고 한번 늘어나면 다시 줄어들지 않는다. 헐거운 고무줄과 같다고 생각하면 된다.

 

고정 크기는 처음에 사용자가 설정한 만큼의 용량을 차지하고 시작한다.

그래서 내 디스크 잔여 용량을 넘어서게 설정할 수가 없다.

너무 적게 잡으면 나중에 용량이 부족해지고, 많이 잡으면 컴퓨터 사용이 어렵다. 그렇다고 중간에 용량을 바꿀 수도 없으니 잘 선택해야 한다.

아무래도 동적 할당과 달리 CPU연산을 하지 않기 때문에 빠르다. 그렇다 보니 현업에서 자주 사용된다.

 

그다음 '만들기'를 클릭하면 끝!

 

내가 만든 CentOS가 추가된 것을 볼 수 있다.

시작하기 전에 설정이 필요하다. 위의 '설정' 아이콘을 클릭한다.

 

시스템>마더보드 에서 '부팅순서'에 플로피를 체크 해제한다. 딱히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참고로 여기서 '마더보드'란 메인보드와 같은 말이다.

 

그 다음 >프로세서 에 들어가서 CPU 개수를 2개로 늘린다. 멀티코어 설정!

 

> 디스플레이 에서 비디오 메모리를 128MB로 늘린다. 비디오 메모리를 늘리면 속도가 빨라진다.

 

 

 

>저장소 에서 컨트롤러의 광학 드라이브가 비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참고로 아래쪽의 SATA는, SSD를 메인보드에 연결하는 케이블을 의미한다.

 

CD 모양 아이콘을 클릭하고, '디스크 파일 선택' 을 클릭하여, 아까 다운로드 받았던 DVD iso 파일을 선택한다.

그러면 이렇게 iso파일이 추가된다.

> 오디오 에서 '오디오 사용하기'를 체크 해제한다.

> USB 에서 'USB 컨트롤러 사용하기' 를 체크 해제 한다.

둘다 사용하지 않기 때문이다.

특히 USB같은 경우, 현재 나온 USB 컨트롤러 버전은 4를 넘기 때문에, 1.1은 매우 초기 버전이다. 옛날 버전이다 보니 사용한다 해도 매우 오래 걸린다. 

 

 

네트워크는 기존에 설정된 대로 NAT (Natwork Address Translation)를 선택하면 된다.

 

 

그리고 '시작'을 클릭한다!

 

엔터를 치면 설치가 된다.

참고로 VB안을 클릭하면 마우스가 이 화면 밖으로 나오지 않는다.

그럴때 아까 초반에 설정했던 호스트 키를 클릭하면 마우스를 화면 밖으로 빼낼 수 있다.

 

언어는 영어로 한다.

한글로 해도 되긴 한데, 가끔 지원이 안돼서 한글이 깨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이런 화면이 뜬다

빨간 표시 된 부분들을 선택해서 바꾸면 된다.

 

Date/Time에 들어가서, 서울로 area를 지정한다.

 

그 다음 software selection을 선택한다.

GNOME Desktop을 선택한다.

 

 

그 다음 돌아와서 installation destination을 클릭한다.

드라이브 분할하는 것이다.

sda라고 되어있는데, sd a, b, c.... 로 늘어난다. Windows의 C드라이브 정도라고 생각하면 된다.

 

일반 리눅스 명령어 실습을 하시는 분들은 그냥 Done 버튼을 클릭해서 넘어가면 된다.

 

 

나 같은 경우는 실습을 위해 하단에 Partitioning에 대한 라디오 버튼을 'I will configure partitioning' 을 클릭한다.

그리고 (캡쳐가 사라졌는데) 하여튼 넘어가면 파란색 글씨로 된

'Click here to create them automatically'를 누른다.

 

그러면 이런 화면이 뜬다.

그러면 이렇게 디스크 용량이 분할된 모습을 볼 수 있다.

home 디렉터리는 보통 개인 홈페이지를 제작하는 용도로 사용되는데, 나는 홈페이지 제작 용도로 VM을 만든 것이 아니므로 삭제할 것이다.

/home 부분을 클릭한 뒤 하단의 -버튼을 눌러 삭제한다.

그러면

 

 

하단의 빨간 박스에 Available space가 73기가로 늘어난 것을 볼 수 있다.

이 남은 용량을 /에 몰빵해준다.

Desired Capacity에 73.12기가를 더한 값을 입력한다.

혹은 매우 큰 값을 입력하면 알아서 조정해준다.

 

 

accept changes를 눌러 변경사항을 저장해준다.

 

(다시한번 말하지만 리눅스 명령어 연습을 하기 위해 VM을 설치하는 사람들은 이 과정이 필요가 없다..)

 

 

그 다음 나와서 network & host name로 들어간다.

Ethernet을 On상태로 만든다. 그러면 IP 주소를 갖게 된다.

 

설정 완료 되었으니 Begin Installation을 클릭한다!

root는 제일 마스터 계정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비밀번호 설정해준다

 

나는 USER CREATION 에서 유저도 추가했는데, 딱히 안해도 된다.

그러면 root 계정으로만 사용하게 된다.

 

Reboot버튼을 누른다.

 

 

그다음 License Information에서 accept를 누르고, Finish Configuration을 누른다. 

아까 직전에 추가했던 사용자가 생긴 모습.

 

뭐 환경설정 하는거 나오는데, Local privacy는 off 해도 된다.

 

짜잔 이렇게 설치 완료

 

 

 

 

참고로 가상 머신을 종료할 때는 이렇게 3가지 선택지가 있다.

현재 시스템 상태 저장하기 -> 그냥 이 상태 그대로 두는 방법이다.(켜놓고 아무것도 안하는 것)

컴퓨터 끄기 신호 보내기 -> 컴퓨터를 종료하는 일반적인 과정. 우리가 컴퓨터 평소 끌 때 처럼 종료된다

시스템 전원 끄기 -> 강제 종료. 컴퓨터 코드선 뽑는 것과 똑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