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rtual Box에 CentOS XFCE 설치하기
CentOS XFCE - CentOS7 경량 데스크톱(X-Windows) - 는, CentOS Desktop과 CLI의 중간 정도인, GUI는 있는데 매우 가벼운 OS이다.
CentOS Minimal을 설치 후 복제해서 설치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새로 만들기] 를 클릭한다.
다른 건 다 디폴트값이고, 가상 하드 디스크 크기를 128GB로 설정했다.
만든 VM에서 [설정]을 누른다.
[시스템] 에서 기본 메모리를 4096MB으로 수정, 부팅 순서에서 플로피를 체크 해제했다.
CPU를 2개로 늘린다.
[디스플레이]에서 비디오 메모리를 MAX값인 128MB로 설정한다.
[네트워크]에서 어뎁터2를 체크하고, '호스트 전용 어뎁터' 로 바꾼다.
[저장소] 에서 컨트롤러 IDE에 mirror 사이트에서 저장했던 minimal iso 파일을 지정한다.
그리고 [시작]을 눌러 실행시킨다.
언어는 영어로 설정한다.
Time Zone은 서울로 지정한다.
[Installation Destination]으로 들어간다.
아래쪽에서 [I will configure partitioning]을 클릭한다.
그러면 이런 창이 나타난다.
파란색 글씨인 [Click here to create them automatically]를 클릭한다.
/home을 선택한 뒤 -버튼을 눌러 삭제하고, 용량을 확보한다.
home 디렉터리가 지워지는 게 아니고, home에 할당된 용량을 회수하는 것이다.
그리고 남은 home에서 삭제된 73기가를 /(root)에 추가한다.
참고로 swap은 메모리를 대체하기 위한 공간이다.
메모리가 부족할 때 사용되며, 디스크가 램이 사용할 공간으로 대체되는 것이다.
속도향상을 위해 사용된다.
[Accept Changes]를 누른다.
그다음 나와서 [NETWORK & HOST NAME]으로 들어간다.
Ethernet을 On상태로 변경한다.
그리고 나와서 Install버튼을 클릭하여 설치를 시작한다.
설치하는 동안 Root Password를 설정한다.
Reboot 버튼이 활성화되면 Reboot를 누르면 된다.
root에 로그인한다.
이렇게 로그인 하고
ip a
를 해보면
enp0s3, enp0s8 두 개가 나타나며, 하단의 enp08s 에 IP가 나타나지 나타나지 않는 것을 볼 수 있다.
enp08s는 우리가 처음에 [설정] - [네트워크] 에서 새로 추가한 '호스트 전용 어댑터(host only)'이다.
이가 비활성화 된 것이며, 사용자가 직접 power on 할 수 있다.
cd /etc/sysconfig/network-scripts/
ls 명령어를 통해 디렉터리를 확인해 보면 앞쪽에 'ifcfg-enp0s8' 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vi를 통해 수정하자.
*참고로 ifcfg = interface configuration
vi ifcfg-enp0s8
여기서 보면 가장 아래쪽에 ONBOOT가 no로 지정된 것을 볼 수 있다.
이 상태에서 vi로 수정한다
- [G] 입력해서 맨 아랫줄로 간다
- [i] 입력해서 [insert] 모드로 바꾼다. 맨 오른쪽의 no를 yes로 수정한다.
- [esc] [:] [w] [q]를 입력한 뒤 [enter]를 입력한다.
vi에 대한 자세한 명령어는 아래의 링크를 참조하자.
https://garysummers.tistory.com/43
하지만...... 나온 뒤 ip a 를 해도 적용이 안돼있다.
리부트를 안해서 그런 건데, reboot 대신
#systemctl restart network
를 입력한다.
이는 랜카드에 수정된 부분을 적용시키기 위한 명령어이며, 단순히 reboot를 하는 것보다 시간 절약적이다.
그리고 ip a를 다시 해본다.
그러면 enp0s8에 ip가 생긴 것을 볼 수 있다.
이 IP를 이용해 cmd창에서 위 VM에 접근할 수 있다.
그리고
진짜 본격적으로 XFCE 데스크톱 설치를 시작한다.
아까 만든 VM은 init 0해서 종료 후 복제한다.
여기서
MAC 주소 정책을 [모든 네트워크 어댑터의 새 MAC 주소 생성]으로 변경해야 한다!!
*MAC 주소(Media Access Control Address)란?
네트워크 세그먼트의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할당된 고유 식별자이다. MAC 주소는 이더넷과 와이파이를 포함한 대부분의 IEEE 802 네트워크 기술에 네트워크 주소로 사용된다.
(위키백과)
원래 디폴트 값은 [NAT 네트워크 어댑터 MAC 주소만 포함] 인데, 이걸 선택하게 되면 복제본과 원본이 같은 MAC 주소를 갖게 되어, 윈도우의 cmd에서 접근하려고 할 때 충돌이 발생한다. 그렇기 때문에 새 MAC 주소를 생성해야 한다.
직전에 만든 CentOS를 복사한 모습. [시작]을 눌러 실행해본다.
ip a를 이용해 IP주소를 다시 확인한 뒤, 윈도우의 cmd에서 접속한다.
왜 cmd에서 접근하려고 하냐면, 복사-붙여넣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아래의 명령어들을 한 줄 씩, 순서대로 진행한다.
1. 센토스 7 커널 업데이트
# yum -y install yum-plugin-fastestmirror
# yum install epel-release -y
# yum update -y
# yum install kernel-devel kernel-headers -y
# yum install -y gcc make linux-headers-$(uname -r) dkms
# reboot
2. 센토스 7 xfce 데스크톱 설치
# yum groupinstall "X Window System" Xfce -y
# systemctl set-default graphical.target
# rm -rf /etc/systemd/system/default.target
# ln -s '/usr/lib/systemd/system/graphical.target' '/etc/systemd/system/default.target'
# yum install -y unzip wget
3. 센토스 7 구글 크롬 설치
# vi /etc/yum.repos.d/google-chrome.repo
여기서 [i]를 눌러 insert 모드로 변경한 뒤, 아래 문장을 붙여넣기 한다.
[google-chrome]
name=google-chrome
baseurl=http://dl.google.com/linux/chrome/rpm/stable/$basearch
enabled=1
gpgcheck=1
gpgkey=https://dl-ssl.google.com/linux/linux_signing_key.pub
# yum install google-chrome-stable -y
# vi /opt/google/chrome/google-chrome
여기서 [G]를 눌러 가장 아랫줄로 내려간 뒤, [i]를 눌러 insert 모드로 변경한다.
그리고 아래와 같이 바꾼다.
exec -a "$0" "$HERE/chrome" "$@" --no-sandbox --user-data-dir
# /usr/bin/google-chrome
를 입력하여 chrome을 실행할 수 있다.
혹은 application에서 internet>chrome을 클릭해서 실행한다.
4. 한글 나눔글꼴 설치
# mkdir /usr/share/fonts/nanumfont && cd $_
# wget http://cdn.naver.com/naver/NanumFont/fontfiles/NanumFont_TTF_ALL.zip
# unzip NanumFont_TTF_ALL.zip
# rpm -Uvh https://dl.fedoraproject.org/pub/epel/epel-release-latest-7.noarch.rpm
# yum install -y perl gcc dkms kernel-devel kernel-headers make bzip2
완성된 모습이다.
# mount /dev/sr0 /mnt
write-only 라고 경고창 뜸
mount : /dev/sr0(=CD롬)과 /mnt:폴더 이름 => 을 연결한다
# cd /mnt
ls 해보면 VBoxLinuxAdditions.run 이 있다. 이는 사이즈에 맞춰서 창 크기가 맞춰지는 기능이다.
# ./VBoxLinuxAdditions.run
그러고 reboot하면 사이즈에 맞춰 화면이 커짐
<화면 키우기>
장치-게스트확장이미지삽입
//dev라는 폴더 안에 sr0라는 장치 파일이있음. 이는 게스트 확장 이미지삽입을 하면 생성됨
# mount /dev/sr0 /mnt
ls /mnt하면 뜨는 것들
~~
실제로 mnt 에 잇는 내용이 아니라 sr0라는 장치 파일 내에 있는 파일임.
umount 경로
mount가 해제된다.
이러고 다시 /mnt ls해보면 아무것도 없음..
mount /dev/sr0 /test
#df -h
디스크의 사용량을 보여주는 명령어
mount : /dev/sr0(=CD롬)과 /mnt:폴더 이름 => 을 연결한다
# cd /mnt
ls 해보면 VBoxLinuxAdditions.run 이 있다. 이는 사이즈에 맞춰서 창 크기가 맞춰지는 기능이다.
# ./VBoxLinuxAdditions.run
그러고 reboot하면 사이즈에 맞춰 화면이 커짐
<사양>
CPU : 2Core
RAM : 4GB
SSD : 128GB(동적 할당; Thin Provisioning)
IMG : CentOS7Mini*.is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