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ra/리눅스

리눅스 압축(tar, gzip) 실습

서머스 2020. 11. 14. 15:23

lab8 폴더에 있는 파일들

tar 명령어를 이용해서 Members1 파일을 -> members.tar 라는 하나의 타르파일로 묶는다

묶는데는 -cvf 라는 옵션이 필요하다

 

참고로

c:create

v:verbose

f:file

이고 tar파일을 풀때는 -xvf(extract), 확인할 때는 -tvf(table of contents) 이다.

 

이걸 다시 gzip 을 이용해서 압축한다

 

-cvf 옵션을 사용해서 내용 확인을 하면 Members1 파일이 들어가 있는 걸 알 수 있다!

이 gz 파일을 홈 디렉터리로 옮긴다

 

members.tar.gz -> gunzip 을 통해 압축 해제

혹은 gzip -d 옵션을 통해 압축 해제 가능하다

-twf 옵션을 통해 members.tar 에 뭐가 들었는지 확인한다

-wxf 옵션을 통해 tar파일을 푼다.

그러면 맨 앞에 Members1이 나타나는 걸 확인할 수 있다.

gzip과 차이점은, gzip은 압축 해제하면 파일이 사라지는데, tar는 풀어도  tar파일이 그대로 남는다.

 

'Infra >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Virtual Box에 CentOS7 설치하기  (0) 2022.04.03
ubuntu에서 jps를 했을 때 DataNode가 동작하지 않을 때  (0) 2021.11.18
raspberrypie LAMP web service 시행착오들  (0) 2020.12.19
awk 실습  (0) 2020.12.02
awk 실습  (0) 2020.1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