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없는말

SQLD 취득 후기

서머스 2024. 10. 5. 21:46

 

난 학부때부터 sql을 거의 사용한 적이 없었다.

생각해보면 DB를 내가 맡은 적이 거의 없었고, 소규모 프로젝트에서는 Firebase를 사용해서 그랬던 것 같다. 수업은 DB 설계하는 것만 들었고..

그렇다 보니 sql을 사용해야 할 때 잘 몰라 난감한 적이 많았다.

그래서 자기계발 겸, SQL 공부 겸 SQLD를 신청하게 되었다.

첫시때는 회사동기들이랑 같이 했는데, 나만 떨어졌다.ㅎㅎ

 

기본기가 부족하기도 했고, 공부 시간이 적어서 떨어진 것 같다.

그리고 제일 치명적이었던 건, sqld에는 1과목 2과목이 있고

10 20 (문항당 2점) 90분(1시간 30분)
40 80 (문항당 2점)
50 100
2과목이 1과목의 4배로 점수 배점이 높은 데, 나의 '순서대로병'으로 인해 노랭이 책의 1과목만 냅다 풀고 갔기 때문이었던 것 같다. 차라리 2과목을 바짝 풀었으면 붙었을지도..

 

아무튼 2회차때는 정신 바짝 차리고 다시 공부..!

2트차도 아슬하게 붙었다는 게 민망한 부분

 

쉽지 않았다.. 하지만.. 가능했다!!

 

그래서 공부 방법은요...

 

1. 인터넷 강의 듣기

https://youtu.be/PC3ypt_VGWI?si=bTnydAV1-x0FjFnx

 

 

기초 잡기 위해 김강민 선생님의 강의를 들었다.

유난히 escape 구문 @_ 이것만 기억 남는다..

 

 

2. 기출문제 풀기

https://yunamom.tistory.com/321#answer24

 

[SQLD] 37회 기출문제 ( 50문제 / 정답, 해설포함 )

⏳남은시간 : 86분12초 📖SQLD. 제 37 회 기출 문제문제 1. 다음에서 설명하는 것은 ER모델 중 어떤 항목에 대한 설명인가?  정답확인🌼1) 모든 릴레이션(Relation)은 원자값(Atomic)을 가져야 한다.2) 어

yunamom.tistory.com

유나몬님이 올려주신 거 보면서 짬짬이 풀었다.

시간제한도 걸려있고, 다 풀고 나면 아래에 점수 통계도 내줘서 좋다.

대신 2023, 2024년도는 통으로 된 기출이 없다는 점

 

3. 노란책은요?

유명한 바로 이 책. 있으면 풀면 좋다. 해설도 자세한 편

책 가지고 있었는데 책 펼 상황이 안돼서 그냥 안썼다..

 

 

notion에 to-do list로 1번부터 50번까지 만든 뒤 틀린 것에 체크했다.

원래 이러고 두번, 세번 풀어야 하는데 한번씩밖에 못풀었다. 30 ~ 39회(중간중간에 없어서 안 푼 회차도 있음)를 이렇게 문제 풀고 모르는 부분 다시 정리해서 외우고 무한반복.

풀다 보면 자주 나오는 이론들이 보인다.

 

더보기
  • ROW_NUMBER() : 중복값이 있어도 고유 등수 부여(1위, 2위, 3위, 4위)
  • RANK() : 중복값은 중복등수, 등수 건너뜀(1위, 1위, 3위, 4위)
  • DENSE_RANK() : 중복값은 중복등수, 등수 안 건너뜀(1위, 1위, 2위, 2위) *동일 등수 순위에 영향이 없다.

 

이런 식으로 자주 나오는 건 맨 앞에 정리해서 꾸준히 보고 외웠다.

 

 

시험 접수 방법

https://www.dataq.or.kr/www/accept/schedule.do
 

데이터자격검정

데이터자격검정, 빅데이터분석기사, DAP, DAsP, SQLP, SQLD, ADP, ADsP

www.dataq.or.kr

dataq 사이트를 들어가면 이렇게 접수 일자가 나와있다.


 

빅데이터 분석기사 제8회 필기 3.4~8 3.22 4.6(토) 4.19~23 4.26 4.29~5.9
실기 5.20~24 6.7 6.22(토) 7.5~9 7.12 -
제9회 필기 8.5~9 8.23 9.7(토) 9.20~24 9.27 9.30~10.10
실기 10.28~11.1 11.15 11.30(토) 12.13~17 12.20 -
데이터분석 전문가
 
제32회 필기 1.22~26 2.8 2.24(토) 3.15~19 3.22 -
실기 3.22~29 4.12 4.27(토) 5.17~21 5.24 5.24~31
제33회 필기 7.1~5 7.26 8.10(토) 8.30~9.3 9.6 -
실기 9.9~13 9.27 10.12(토) 11.1~5 11.8 11.8~15
데이터분석 준전문가
 
제40회 - 1.22~26 2.8 2.24(토) 3.15~19 3.22 -
제41회 - 4.8~12 4.26 5.11(토) 5.31~6.4 6.7 -
제42회 - 7.1~5 7.26 8.10(토) 8.30~9.3 9.6 -
제43회 - 9.30~10.4 10.18 11.3(일) 11.22~26 11.29 -
SQL 전문가
 
제50회 - 1.29~2.2 2.23 3.9(토) 3.29~4.2 4.5 4.5~12
제51회 - 7.22~26 8.9 8.24(토) 9.6~10 9.20 9.20~27
SQL 개발자
 
제52회 - 1.29~2.2 2.23 3.9(토) 3.29~4.2 4.5 -
제53회 - 4.22~26 5.10 5.25(토) 6.14~18 6.21 -
제54회 - 7.22~26 8.9 8.24(토) 9.6~10 9.20 -
제55회 - 10.14~18 11.1 11.17(일) 12.6~10 12.13 -
데이터아키텍처 전문가
 
제61회 - 2.12~16 2.29 3.16(토) 4.5~9 4.12 4.12~19
제62회 - 8.26~30 9.13 9.28(토) 10.18~22 10.25 10.25~11.1
데이터아키텍처 준전문가
 
제56회 - 2.12~16 2.29 3.16(토) 4.5~9 4.12 -
제57회 - 8.26~30 9.13 9.28(토) 10.18~22 10.25 -

정처기처럼 날짜 맞춰서 10시에 딱 들어가서 접수하면 된다.

정처기보단 덜 빡빡한 것 같다.

응시료는 5만원!

 

시험 당일

09:30 09:31~09:59 10:00~12:00 11:00~ 이용불가
10:00~13:00 11:30~ 10:30~
10:00~14:00 10:30~ 10:30~
10:00~11:30 이용불가
10:00~13:00 10:30~
10:00~11:30 이용불가
10:00~13:00 10:30~
10:00~14:00 10:30~
10:00~11:30 이용불가

 

9시반까지 입실인데, 10시전까지는 어캐든 봐주시는 것 같기도 하다.

그래도 늦진 않는게 좋다. 

 

준비물

펜!!!과 신분증 + 컴싸

난 1회차때 펜을 안들고 와서 감독관 선생님께 빌렸었다...

수험표는 있으면 편하긴 한데, 수험표 안챙겨오는 사람이 절반정도 된다.

수험번호 작성할 때 칠판에 써있는 거 보고 오면 된다...(머쓱

컴싸는 OMR 작성할 때 필요한데, 펜으로 해도 된다. 갔더니 감독관 선생님이 컴싸 빌려주심..

 

 

이로써 올해(가 아니고 사실 작년..) 목표했던 기본 자격증 2개를 취득 완료!

다들 화이팅입니다